ㅇ 2016. 6. 28 IFTTT블로그 發
ㅇ 하기 내용은 블로그 내용 중 일부 내용임
ㅇ 개요
- 전문가들은 2020년까지 그로벌리 500억개의 connected device가 될거라고 함
: 이는 두당 6개의 디바이스가 된다는 얘기
ㅇ IFTTT에서의 IoT
- IFTTT에서의 IoT 채널 카테고리
. 피트니스 및 헬스 디바이스
. 웨어러블
. DIY 전자기기
. 커넥티드 홈디바이스
. 커넥티드카
. 보안이나 모니터링(관제)시스템
- IFTTT는 처음 WeMo Motion과 Switch로 2012년 시작
- 2014년 말 40개 IoT 채널에서 2015년 말 104개로 됨
- `16.7 테슬라의 EVE런치와 함께 158개가 될 것이며 계속 확장할 것임
- 158개 IoT 채널로 1.5백만의 연결을 만들어냄
- 커넥티드홈에서 가장 적용이 많이 되고 알렉사, 휴, 네스트같은 채널을 통해 GE나 하니웰 기기로 연결
- 웨어러블은 두번째로 인기있는 그룹이며 핏빗, 죠본, 미스핏 같은 브랜드가 있음
(출처 : IFTTT 블로그)
ㅇ 누가 쓰냐?
- 페북 계정으로 쓰는 사람이 좀 있음
- IFTTT를 쓰는 IoT유저(?)는 평균 6개를 쓰고 non-IoT 유저는 4개임
* IoT유저가 뭔지 모르겠군요. ㅋㅋㅋ 폰으로만 쓰는 사람과 커넥티드 디바이스가 있는사람의 차이인가??
- iOS 사용자 51%, 안드로이드 29%
- IoT를 쓰는 사람들 중에서 IFTTT 유저 비율(내림차순)
. 스위스 45%
. 네덜란드 41%
. 덴마크 40%
. 벨기에 34%
. 오스트리아 33%
. 스웨덴 31%
. 프랑스 31%
. 영쿡 30%
. 아이레 28%
. 이탈리아 23%
. 아랍에미레이트 23%
. 체코 20%
. 미쿡 20%
. 싱가폴 19%
. 코레아 18%
- 유럽이 대세임
- 한국을 기회의 땅으로 보고 있다고 함(we see a big opportunity in tech-savvy Korea, 본문 중)
ㅇ (관련내용) : http://blog.ifttt.com/post/146612983078/the-internet-of-things-on-ifttt
'스마트기기뉴스 > 스마트홈_시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샘, 내년 중국 인테리어 B2C 시장 진출 (0) | 2016.08.25 |
---|---|
스마트홈에 적용될 기술트랜드 (0) | 2016.08.02 |
LG전자 스마트씽큐 센서, 스마트씽큐 허브 출시 (0) | 2016.06.20 |
이통사 인공지능 가정비서 출시 동향 (0) | 2016.06.20 |
코웨이 하이얼, 애플 협업, 다이제스트 선정 신뢰브랜드 수상 (0) | 2016.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