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중학교때 배우기로,
계산 우선순위는 덧,뺄셈<곱나눗셈<괄호앞곱셈<괄호 으로 배웠었는데...
근데 공학용계산기로 두드려봐도 의견이 분분하다네요. ㅋㅋ
이거 회사상대 소송감이군요.
다음은 읽을거립니다.
가십거리죠. ㅋㅋ
한번 읽어보세요
설마..이 수식 떡밥이 이슈가 될 줄은 몰랐네요 -0-;; 여러 커뮤니티에 올라왔던 수식입니다만...
많은 네티즌들이 48÷2(9+3) 의 답에 대해서 해답을 내놓고 있는 상황입니다.
(해외 포함) 48÷2(9+3) 수식에 대한 네티즌 정답 글을 모아봤습니다.
1.
답은 2.
떡밥이란 말은 288과 2의 대결을 기대하고 하신 말씀 같은데..
답은 2입니다.
2.
48/2(12) 공학 계산기 결과가
casio fx-9860g slim: 2
hp 49+: 288
회사마다 다르군요.
수능에 나오면 소송감입니다.
3. 계산기 인증
4.
죄송하지만 저거보다 훨씬 비싼 Ti 계산기에서는 288 나옵니다;;
계산기는 설계한 사람의 로직대로 계산하니 정답과는 아무런 연관이 없구요;;
5.
출제자가 2를 의도하고 문제를 낸거같은데 ()를 잘못써서288이 정답이겠죠.
위에 링크한 곳에서도 몇몇 사람에게는 2같지만 스탠다드가 288이라고 하는데... 원래 가로없으면 곱셈,나누셈과 덧셈,뺄셈은 순서대로 푸는게 규칙이잖아요.
후자에 가로가 없으면 먼저 48을 2로 나누는게 맞음
48/2*12=8이라고 우기면 역수로 양쪽에 곱해보면 왜 틀린지와여
6.
저거 예전에도 외국에서 말이 많아서 공식화됬다던데 답은 2임 괄호앞에 있는숫자에 생략된 곱셈이 나눗셈보다 우선순위에 있다던데
7.
이게 왜 공대생들한태는 2가 되는것이 당연하냐면 수학적인 계산말고 화학이라던지 물리에서 쓰이는 계산에서는 대다수가 단위값이라는걸 가지게 되죠 단순한게 cm를 봅시다. 3cm/3cm 는 당연히 1이라는 무차원수가 되야하는대. 288이라는 논리로 풀어버리면 1cm^2가 되어버립니다.
8.
사실 두 개 다 틀렸어요.
이런 조건에선 이게 맞고 저런 조건에선 저게 맞는거지만
문제 자체에 그런 조건이 표시되어있지 않으니까 답은 없는거에요. 시험에 이런 문제가 나왔으면
문제 낸 선생님 잘못이니까 그냥 다 맞았다고 해주는 문제..
9.
각종 사이트에서(해외포함) 이거 가지고 말이 많더군요. 그냥 정의(definition)의 문제인데 이미 구축된 각종 도구들에(혹은 컴퓨터언어) 적용해보면서 그것을 가지고 답에 대한 근거를 찾더라고요. 자신이 사용하는 언어의 연산자 정의 방식에 대해서 한번쯤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